트렌드코리아 2026 확장판

반응형

『트렌드코리아 2026』 리뷰 – AI 시대에 인간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

김난도 교수의 『트렌드코리아 2026』은 단순한 경제·소비 전망서를 넘어, 변화의 물결 속에서 ‘인간다움’이란 무엇인가를 되묻는 시대의 리트머스다.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세상에서, 인간의 감정·창의·판단은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까? 이 책은 그 답을 찾아가는 여정이다.

AI 가 만드는 초자동화 시대, 그 속에서 인간은 무엇을 해야 하나

『트렌드코리아 2026』의 첫 페이지부터 가장 강렬하게 느껴지는 키워드는 단연 ‘휴먼 인더 루프(Human-in-the-loop)’다. AI가 모든 것을 자동화할 수 있어도, 그 루프 속에는 반드시 인간이 존재해야 한다는 명제다.

김난도 교수는 2026년을 “AI 시대의 본격적인 대전환기”라 정의한다. AI 비서가 메일을 쓰고, AI 쇼핑봇이 상품을 추천하며, AI 디자이너가 광고 이미지를 만드는 시대—모든 것이 가능해졌지만 그만큼 ‘인간의 의미’는 흔들리고 있다.

그는 이 책에서 ‘기술의 진보’보다 ‘사람의 통찰’을 중요하게 다룬다. “AI가 할 수 있는 일보다 AI가 할 수 없는 일을 탐색하라.” 이 한 문장은 이 책의 핵심 명제다. 즉, 인공지능이 결정하지 못하는 부분—윤리, 감정, 상황 판단, 가치관—이야말로 인간의 영역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자는 AI 번역이 완벽해진 시대에도 문학 번역가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 이유는 ‘의미의 온도’를 정확히 조율할 수 있는 존재는 여전히 인간뿐이기 때문이다.

독자로서 나는 이 부분에서 큰 공감을 느꼈다. 기계가 결정하는 세상 속에서도, 결국 ‘어떻게 살 것인가’는 사람이 결정해야 하는 문제다. 『트렌드코리아 2026』은 기술의 이해를 넘어 삶의 기준을 다시 세우는 철학서에 가깝다.

2026년 10대 키워드가 드러내는 소비와 삶의 방향성

이 책의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역시 ‘트렌드코리아 시리즈’의 시그니처인 ‘10대 키워드’ 파트다. 2026년을 관통하는 핵심 단어들은 다음과 같다. 휴먼인더루프, 필코노미(Feel-conomy), 제로클릭(Zero Click), 레디코어(Ready Core), 1.5가구, 리필테크, 근본이즘(Fundamentalism) 등이다.

‘필코노미’는 감정이 경제를 움직이는 현상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가성비가 중요했다면 이제는 ‘내 기분에 맞는가’가 핵심 기준이 됐다. 예를 들어 단순히 커피를 사는 것이 아니라 ‘나를 위로해 주는 한 모금’을 사는 것이다. 스타벅스의 한정판 MD 상품이나 ‘감정 소비’ 플랫폼이 각광받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제로클릭’은 AI 추천 시스템이 모든 결정을 선행하는 미래를 뜻한다. 검색조차 필요 없는 시대—즉 소비자가 선택하지 않아도 AI가 ‘당신에게 필요한 것’을 먼저 제시한다. 편리함 뒤에는 ‘의도된 선택의 제한’이라는 그늘이 있다. 우리는 더 이상 직접 고르지 않지만, 그렇기에 더 많이 조종당한다. 저자는 이 지점을 날카롭게 지적한다.

그리고 ‘근본이즘’은 모든 기술이 첨단으로 향할수록 사람들이 ‘진짜’와 ‘본질’을 찾게 된다는 역설이다. 핸드드립 커피, 수공예 제품, 전통시장 투어 등이 다시 주목받는 이유가 바로 이 감정적 회귀 때문이다.

책은 각 키워드를 단순히 예측으로 끝내지 않고, 그 배경에 있는 사회심리적 요인까지 짚는다. 그래서 읽는 동안 ‘내 소비 습관’과 ‘내 삶의 패턴’을 되돌아보게 된다.

트렌드를 넘어 인간의 방향성을 묻는 미래철학서

『트렌드코리아 2026』은 단순한 경제전망서가 아니다. 이 책이 던지는 질문은 “미래는 어떻게 바뀔까?”가 아니라 “그 미래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이다.

저자는 트렌드를 예측하기 위한 도구로 ‘3H 모델(Head, Heart, Hand)’을 제시한다. 머리로 이해하고(Head), 가슴으로 공감하며(Heart), 손으로 실행하는 (Hand) 순환 과정이야말로 진정한 변화의 핵심이라는 것이다.

AI와 기술 혁신이 모든 것을 대체할 수 있을 것처럼 보이지만, 이 세 가지 요소만큼은 인간에게만 존재한다. 이 책은 결국 ‘인간이 무엇으로 살 것인가’라는 철학적 질문으로 귀결된다.

책의 후반부에서 저자는 AI 윤리, 데이터 프라이버시, 사회적 신뢰 같은 문제까지 논의한다. 기술의 편리함을 누리는 한편, 그 뒤에 숨은 불평등과 피로 감정에 대해서도 깊이 성찰한다. “기술의 발전이 행복으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 이 문장은 이 책의 진정한 결론이다.

마지막 장을 덮으며 느꼈다. 『트렌드코리아 2026』은 우리에게 ‘변화에 적응하라’고 강요하지 않는다. 오히려 ‘변화 속에서 당신만의 기준을 세워라’ 고 조용히 권한다. 그것이 이 책의 품격이며, 왜 이 시리즈가 15년 넘게 사랑받아 온 이유다.

#트렌드코리아2026 #김난도 #미래소비 #AI트렌드 #근본이즘 #책리뷰
반응형